청약 이야기를 듣다 보면
“요즘은 60점도 어렵다더라”
“가점 낮으면 그냥 포기해야지 뭐”
이런 말, 정말 많이 들려요.
하지만 꼭 그럴 필요는 없습니다.
가점이 낮다고 기회를 완전히 잃은 건 아니거든요.
실제로 당첨된 사람들 중에는 40점대, 심지어 30점대인 경우도 많아요.
오늘은 가점이 낮은 분들을 위한 전략, 그리고 용기 내서 다시 도전할 수 있는 이유를 함께 정리해 볼게요.
1. 낮은 가점, 어디까지 가능할까?
수도권 인기 아파트의 경우 청약 가점 커트라인이 60점~70점에 이르기도 해요.
하지만 전국이 다 그런 건 아니에요.
예를 들어,
- 지방 중소도시
- 전용 85㎡ 초과 아파트
- 도심 외곽 지역
- 신축이 아니거나 브랜드 인지도가 낮은 단지
에서는 경쟁률이 낮아지고, 당첨선도 내려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 사례를 보면,
- 대구의 한 민영주택에서 가점 38점 당첨
- 전북 혁신도시에서 가점 41점 당첨
- 수도권 외곽에서 추첨제로 0점 당첨 사례도 있어요!
즉, 포기할 게 아니라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해요.
2. 추첨제를 활용하자
추첨제는 말 그대로 “운”입니다.
가점이 높아도 낮아도, 일단 자격 요건만 되면 동등한 확률로 응모 가능해요.
추첨제가 적용되는 대표적인 경우는 아래와 같아요:
전용 85㎡ 초과 민영주택 | 100% 추첨 |
전용 85㎡ 이하 수도권 민영주택 | 가점제 75% + 추첨제 25% |
공공분양 | 대부분 가점제 100%, 단 일부 예외 있음 |
📌 특히 추첨제의 75%는 무주택자 우선, 25%는 유주택자도 가능한 구조예요.
→ 무주택자라면 추첨제에서도 더 많은 기회를 갖게 되는 셈이죠!
3. 지역 선정이 전략이다
가점이 낮은 분들이 눈여겨봐야 할 핵심 포인트 중 하나는 ‘지역’이에요.
서울 한복판, 대형 건설사 브랜드 아파트에 몰리는 경쟁률은 수백 대 일도 넘지만,
아래와 같은 곳은 실질적인 당첨 확률이 존재합니다:
- 수도권 외곽 (예: 평택, 오산, 동탄 일부, 인천 검단 등)
- 지방광역시 외곽 (예: 대구 달성군, 부산 기장군 등)
- 혁신도시나 산업단지 주변 신규 택지지구
- 전용 85㎡ 초과 아파트 중심의 단지 (가점제 부담 없음)
📌 “실거주 계획”이 있거나 전세 만기와 맞물릴 수 있다면,
이런 곳에 1~2년 정도 살 각오로 청약 도전하는 것도 아주 현실적인 전략이에요.
4. 당첨 전략을 위한 현실적인 마인드셋
가점이 낮다면, 마음가짐부터 이렇게 바꿔 보세요:
(1) “나는 추첨제 타깃이다”
→ 당첨을 노리는 게 아니라, 기회를 모으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 반복적으로 도전하는 것이 핵심 (한 번이 아니라 5번, 10번)
(2) “모두가 포기하는 곳이 나에겐 기회”
→ 인기 단지만 보지 말고, 사람들이 잘 안 노리는 단지를 살펴보기
→ 브랜드보다 입지와 가격, 내 상황에 맞는지가 핵심
(3) “지금은 준비 기간”
→ 무주택 기간 계속 쌓이고 있고, 통장도 납입 중이면 점수는 자란다
→ 단기 추첨제, 장기 가점제 두 전략을 병행하는 마음으로 접근하기
5. 이런 방법도 있어요! (+꿀팁)
✅ 청약홈에서 최근 경쟁률 확인하기
→ 경쟁률 낮은 단지 위주로 도전하는 게 좋음
→ 커트라인까지 확인 가능 (청약홈 > 당첨자 발표 조회)
✅ 특별공급에 대한 자격 다시 검토하기
→ 생애최초, 신혼부부, 다자녀 등 놓친 특공 자격이 있는지 확인
→ 생각보다 조건 충족되는 경우도 많음!
✅ 지역우선공급 여부 확인
→ 거주 요건 충족하면, 해당 지역 우선공급 비율이 적용되기도 함
→ 일시적 전입을 고려해볼 수 있는 이유
6. 마무리하며
청약 가점이 낮다고 포기할 필요는 전혀 없어요.
추첨제, 지역 선택, 반복적인 도전, 이 세 가지를 꾸준히 실천한다면
언젠가 내 이름이 발표 명단에 뜰 날이 분명히 옵니다.
가점이 높은 사람은 당첨에 가깝고,
가점이 낮은 사람은 기회에 가까워지는 중이에요.
청약은 지금의 점수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준비하고 도전하는 태도가 결국 ‘당첨’을 만들어 냅니다.
✏️ 다음 글 예고
다음 글에서는
“청약 통장, 제대로 활용하고 계신가요?”
많은 분들이 가입은 했지만, 막상 납입이나 관리가 소홀한 경우도 많아요.
청약 통장도 전략적으로 써야 ‘힘을 발휘’합니다.
👉 유형별 청약통장 비교, 납입 요령, 가족별 통장 운용 전략까지
다음 글에서 알차게 정리해 드릴게요! 😊
'내 집 마련의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기관추천 특별공급, 누가 어떻게 받을 수 있을까요? (8) | 2025.07.07 |
---|---|
👨👩👧👦 다자녀 특별공급, 자녀 셋이면 당첨될까요? (2) | 2025.07.07 |
🏠 생애최초 특별공급, 누구에게 기회가 있을까요? (0) | 2025.07.07 |
💰 청약통장, 제대로 활용하고 계신가요? (2) | 2025.07.06 |
📊 청약 가점제, 점수 어떻게 올릴 수 있을까? (0) | 2025.07.06 |
🏘️ 특별공급 대신 일반공급? 나에게 맞는 전략은 따로 있다 (0) | 2025.07.06 |
🛠️ 특별공급, 이렇게 준비하면 당첨에 가까워집니다! (12) | 2025.07.05 |
🧩 이 정도 조건이면 당첨될까? 특별공급 커트라인 실전 분석 (2) | 2025.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