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약은 점수 높은 사람이 되는 거라면서요?”
“무주택기간이 길면 좋다는데, 그게 무슨 의미예요?”
요즘 부동산 관련 이야기에서 자주 나오는 말 중 하나가 바로 ‘청약 가점제’입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무주택기간은 청약에서 가장 핵심적인 항목 중 하나로 꼽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청약 가점이 뭔지, 무주택기간이 왜 중요한지 쉽게 풀어드릴게요!
1. 청약 가점제란?
주택청약 당첨자를 정할 때 사용하는 방식 중 하나예요.
무작위 추첨이 아니라, 점수가 높은 사람에게 우선권을 주는 제도죠.
특히 민영주택 분양에서는 가점제가 일반적으로 적용돼요.
2. 가점제의 3가지 항목
청약 가점은 총 84점 만점으로 구성돼요.
항목은 아래 3가지입니다:
- 무주택기간 – 최대 32점
- 부양가족 수 – 최대 35점
- 청약통장 가입 기간 – 최대 17점
그중에서도 많은 분들이 가장 꾸준히 챙길 수 있는 항목이 바로 무주택기간이에요.
부양가족은 쉽게 늘릴 수 없고, 가입 기간은 이미 지나간 시간이라 되돌릴 수 없지만,
무주택기간은 지금부터라도 만들고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핵심 포인트입니다.
3. 가점 항목별 상세 점수표
- 무주택기간 (최대 32점)
1년 미만: 0점 / 1~2년: 2점 / 2~3년: 4점 / 15년 이상: 32점 - 부양가족 수 (최대 35점)
0명: 5점 / 1명: 10점 / 2명: 15점 / 3명 이상은 명당 5점 씩 추가, 최대 35점 - 청약통장 가입 기간 (최대 17점)
6개월 이상부터 1점 / 1~2년: 2점 / 15년 이상이면 17점
4. 무주택기간, 어떻게 따지는 걸까?
- 세대주 기준으로 계산돼요.
- 세대원 중 누군가가 주택을 보유 중이면 무주택으로 간주하지 않아요.
- 전입신고가 누락되거나 주소지가 다르면 무주택기간이 인정되지 않을 수 있어요.
- 주택으로 간주하지 않는 오피스텔이나 기숙사 거주는 무주택으로 인정됩니다.
5. 평균 가점은 어느 정도일까?
- 서울 민영아파트 당첨 가점 평균: 60점대 후반
- 수도권 인기 지역: 70점 이상
👉 대부분의 20·30세대 평균 가점은 20~30점대가 많아, 일반 가점제는 불리한 구조예요.
6. 예시로 살펴보기
- 20대 독신 A 씨
무주택기간 2년 + 부양가족 없음 + 청약통장 2년 = 약 6~8점 - 30대 부부 B 씨
무주택기간 5년 + 부양가족 1명 + 통장 5년 = 약 25~30점 - 40대 4인 가족 C 씨
무주택기간 12년 + 부양가족 3명 + 통장 10년 = 60점 이상 가능
7. 그럼 20·30세대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
- 무주택 세대주 상태 유지
- 청약통장 지금 바로 개설 (매달 10만 원 이상 납입 추천)
- 특별공급 제도 사전 확인 (신혼부부·생애 최초·청년특공 등 대상 여부 파악)
📌 예: 청년 D 씨는 무주택 단독세대주로 유지하면서 청약통장에 성실히 납입했고,
‘생애 최초 특별공급’에 도전해 당첨된 케이스예요.
가점이 낮아도 전략적으로 접근하면 기회는 충분히 있습니다!
8. 오늘의 요약 정리
- 청약 가점제 = 무주택기간 + 부양가족 수 + 청약통장 가입기간
- 무주택기간은 지금부터라도 만들 수 있는 유일한 항목
- 현실적으로는 특별공급 제도 활용이 20·30세대에 더 유리
- 오늘부터라도 조건 관리 시작하면 분명히 기회는 옵니다!
👉 다음 글 예고:
“가점은 낮고, 특별공급은 복잡해요… 신혼부부 특별공급은 누가 받을 수 있나요?”
👉 다음 글에서는 신혼부부를 위한 특별공급 제도에 대해 쉽게 풀어드릴게요! 놓치지 마세요 😊
'내 집 마련의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청약 가점? 특별공급이면 안 봐도 된다? (2) | 2025.07.04 |
---|---|
🧩 생애최초 vs 청년특공, 나에게 더 유리한 건? (6) | 2025.07.04 |
🏡 결혼 안 해도 청약 받을 수 있나요? (10) | 2025.07.04 |
💍 가점은 낮고, 특별공급은 복잡해요… 신혼부부 특별공급은 누가 받을 수 있나요? (4) | 2025.07.03 |
🏡 청년·무주택자를 위한 정부 지원 제도, 뭐가 있을까? (2) | 2025.07.03 |
🧭 월세만 계속 내는 게 맞을까? (0) | 2025.07.02 |
🏘️ 전세는 줄고, 월세는 늘어난다? (8) | 2025.07.02 |
🏠 부동산 용어, 왜 이렇게 어려운가요? (4) | 2025.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