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집 마련의 기초

📊 무주택 가점 32점, 도대체 어떻게 계산되는 걸까?

by 오픈엔디드 2025 2025. 7. 11.

“무주택 기간이 길면 점수가 높다는데… 그 점수는 어떻게 계산되는 거지?” 
청약을 처음 알아볼 때 가장 많이 헷갈리는 부분 중 하나예요. 
특히 가점제에서 무주택 점수는 최대 32점, 당첨 가능성을 좌우할 정도로 큰 비중을 차지하죠. 

오늘은 바로 그 무주택 점수
도대체 어떤 기준으로 주어지는지, 언제부터 계산되는지, 
어떻게 하면 만점에 가까워질 수 있는지—차근차근 풀어볼게요. 

내 집 마련


1. 가점제란? 간단히 짚고 넘어가자면…

 

주택청약제도에는 ‘가점제’와 ‘추첨제’가 있어요.
이 중 가점제는 무주택 실수요자에게 기회를 더 주기 위한 제도예요.
가점을 따지는 항목은 총 세 가지:

항목설명배점
무주택 기간 집이 없는 기간 32점
부양가족 수 같이 사는 가족 수 35점
청약통장 가입기간 얼마나 오래 청약통장을 유지했는지 17점
총합   84점
 

이 중 무주택 기간은 단일 항목으로는 가장 높은 점수(32점)를 차지해요.
그래서 무주택자라면 이 항목에서 점수를 최대한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요.


2. 무주택 기간, 도대체 언제부터 계산되는 걸까?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부분이 바로 이거예요.
“나는 지금 집이 없긴 한데, 언제부터 무주택으로 본다는 거야?”

정답은 이거예요:
‘세대주’가 된 시점부터 무주택 기간이 계산돼요.

즉, 단순히 본인 명의로 집이 없었다고 해서 자동으로 무주택 기간이 쌓이는 건 아니고,
무주택 ‘세대주’로 인정받는 시점부터 시작돼요.
여기서 '세대주'란 주민등록상 하나의 세대를 대표하는 사람을 말해요.

예를 들어 이런 경우를 볼게요:

  • 2015년부터 부모님과 같이 살며 무주택이었음
  • 2020년에 독립해서 세대주로 전입신고하고 계속 무주택 상태 유지

👉 이 경우 무주택 기간은 2020년부터 계산돼요.


3. 그럼 32점 만점은 어떻게 받을 수 있을까?

 

무주택 점수는 1년에 2점씩, 6개월 단위로 1점씩 올라가요.
그리고 최대 15년 이상이면 32점 만점이에요.

무주택 기간점수
1년 미만 2점
1년 이상 2년 미만 4점
2년 이상 3년 미만 6점
14년 이상 15년 미만 30점
15년 이상 32점
 

즉, 15년을 채워야 무주택 기간 만점을 받을 수 있어요.
물론 무주택 기간이 짧더라도, 부양가족 수나 청약통장 가입 기간을 잘 채우면 충분히 경쟁 가능한 점수가 나올 수 있어요.


4.❗놓치기 쉬운 포인트: 세대원 중 누가 집을 가지고 있어도 ‘무주택 아님’

 

가점제에서 무주택 여부는 ‘세대 기준’으로 따져요.
그래서 본인이 무주택 세대주라도,
같은 세대에 속한 가족(부모, 배우자 등)이 집을 소유하고 있다면 무주택으로 인정받지 못해요.

예를 들어:

  • 세대주: 나 (집 없음)
  • 세대원: 아버지 (주택 소유자)
    👉 이 경우 무주택으로 인정되지 않음!

이런 상황을 피하려면, 전입신고를 통해 세대 분리를 하거나
청약 신청 전에 무주택 세대주 자격을 분명히 갖춰야 해요.


5. 📎무주택 기간 인정받기 위해 확인해야 할 것들

 

무주택 점수를 제대로 받기 위해, 신청 전에 꼭 점검해야 할 것들이 있어요:

  1. 현재 내가 세대주인지 확인
    👉 주민등록등본 확인해보기
  2. 세대원 중 주택 소유자가 없는지 확인
    👉 가족 구성원들의 부동산 보유 여부 조회
  3. 예전에 잠깐 소유했던 주택 이력은 없는지
    👉 과거에 주택을 잠시 보유했다가 매도한 기록도 영향 줄 수 있음
  4. 공동명의 주택 보유 이력 여부
    👉 지분 100%가 아니라 일부라도 주택을 보유한 적이 있으면 무주택으로 인정되지 않음

정확한 기준은 청약홈(www.applyhome.co.kr) 등에서 확인할 수 있고,
필요하면 한국부동산원 청약상담센터를 통해 사전 상담도 가능해요.


6. 🔍 간단 요약


✔ 무주택 기간은 세대주가 된 시점부터 계산
✔ 15년 이상 무주택이면 32점 만점
✔ 6개월마다 1점씩, 1년에 2점씩 올라감
✔ 세대원 중 누구라도 주택을 보유하고 있으면 무주택 불인정
✔ 신청 전 주민등록등본과 가족 주택 보유 여부 꼭 확인!


7. 마무리하며


가점제는 ‘점수 싸움’이긴 하지만, 그 속을 들여다보면
시간을 어떻게 보내고 있었는지, 지금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지가 그대로 반영되는 제도예요.
그중에서도 무주택 기간은 단순히 오래 기다린 사람에게 주어지는 신뢰의 점수라고 볼 수 있어요.

만약 무주택 기간이 아직 짧다고 해서 좌절할 필요는 없어요.
지금부터 세대주가 되어 준비하면,
2~3년 안에 충분히 유의미한 점수를 만들 수 있고,
다른 항목과 조합해 실속 있는 점수를 만들어낼 수도 있어요.

청약은 단거리 경주가 아니라 마라톤이에요.
그리고 우리는 지금 그 출발선에 성실하게 서 있는 거예요.


✏️ 다음 글 예고
👉 부양가족 수는 어떻게 계산되고, 점수는 얼마나 될까?
혼인 여부, 자녀 수, 부모님 부양까지—가점 구조를 제대로 파헤쳐 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