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 집 마련의 기초

🎯 추첨제, 정말 당첨될 수 있을까?

by 오픈엔디드 2025 2025. 7. 9.

“가점 낮으니까 추첨제만 노려야지.” 
“언젠가 한 번쯤은 걸리지 않을까?” 
추첨제를 바라보는 많은 분들이 한 번쯤은 해보셨을 생각이 아닐까 싶은데요.

운에 맡기기만 해서는 어렵지만, 전략적으로 노리면 가능성은 분명히 존재합니다.

현명한 시도를 위해 자세한 내용 살펴볼게요! 

내 집 마련


1. 추첨제라는 기회

추첨제는 어디까지나 ‘보조적인 기회’라는 걸 기억해야 해요.
운이 전부인 것처럼 보이지만, 그 안에도 기준은 있고, 경쟁률은 존재하니까요.

예를 들어, 수도권 인기 지역의 추첨제 경쟁률은 수백 대 일을 넘나들기도 하는데
특히 전용 85㎡ 초과 단지의 추첨 물량은 많아 보여도,
실제로는 청약 가능한 사람 수에 비해 공급이 턱없이 부족해서 경쟁이 치열해지는 구조예요.

가점 낮은 사람들에게 희망의 끈은 맞지만,
그 희망을 어디에 걸어야 하는지가 훨씬 중요해지죠.


2. 왜 다들 추첨제를 노릴까?

추첨제를 포기할 수 없는 이유는 분명해요.

  1. 점수 없어도 가능성이 있다:
    가점제에선 30점대는 거의 기회가 없지만, 추첨제는 그냥 한 장의 티켓만 있어도 도전 가능!
  2. 유주택자도 도전 가능:
    무주택자 우선은 있지만, 기회 자체는 유주택자에게도 열려 있음 (특히 중대형 면적)
  3. 입지·단지·브랜드 좋은 곳도 추첨제가 있다:
    대형 건설사 단지나 수도권 핵심 입지도 일부 추첨 물량을 배정하니까 놓칠 수 없죠!
  4. 실패해도 손해는 없다:
    청약은 일종의 ‘응모’니까, 떨어져도 돈을 잃는 건 아님. 계속 도전 가능! 

 

3. 그럼 당첨 확률은 얼마나 될까?

사실 추첨제는 ‘확률’보다는 ‘횟수’가 중요해요.
한 번에 당첨되길 바라는 건 무리일 수도 있지만,
꾸준히 넣다 보면 확률은 누적된다는 게 핵심이죠.

예를 들어볼게요:

  • 전용 85㎡ 초과 아파트 (추첨제 비율 70%)
  • 서울 외곽권 또는 수도권 2기 신도시
  • 1,000세대 중 일반공급 300세대, 그중 추첨제 210세대
  • 여기에 신청자가 6,000명 몰렸다면 경쟁률은 약 28:1

물론 단순 계산이고, 실제론 무주택자 우선 비율, 지역 우선, 기타 자격 조건이 섞이지만
이 정도 경쟁률은 전략적으로 노릴 수 있는 수준이에요.

반면, 서울 강남권 대단지는 300:1 넘는 경우도 있습니다.
→ 같은 추첨제라도, 어디를 고르느냐가 당첨 확률을 좌우!

이런 걸 보면 추첨제도 ‘정보 싸움’이라는 걸 알 수 있죠.
청약 경쟁률 추이도 체크하면서 움직이면 좋아요!


4. 추첨제, 이렇게 접근하자! (전략 4가지)

그렇다면 단순히 넣기만 하지 말고, 조금 더 똑똑하게 접근해 봐요! 

 (1) 추첨제 물량 많은 단지만 고르자

 → 전용 85㎡ 초과 단지가 대표적.
 → 단지 규모가 클수록 추첨제 물량도 많아짐.
 → 특히 1,000세대 이상 대단지일수록 기회가 더 많다!

 (2) 지방이나 수도권 외곽, 경쟁률 낮은 곳을 노리자

 → 인프라는 조금 아쉬워도 당첨 가능성이 더 높음.
 → 교통 호재 있는 지역은 미래 가치도 있음.
 → 요즘은 수도권 외곽도 GTX 개발로 분위기가 많이 바뀌었어요.

 (3) 청약 자격 조건 철저히 체크하기

  → 실거주 요건, 무주택 요건, 지역 우선 요건 등
  → 자격 미달로 탈락하는 사례가 의외로 많음!
  → 당첨 되고도 부적격 처리되면 곤란하니까요.

  (4) 청약통장 꾸준히 유지하면서 실패에도 익숙해져라

 → 한두 번 떨어졌다고 좌절하지 말고,
 → 매번 내 정보가 데이터로 쌓이는 것이라 생각하는 자세도 필요해요!
 → 실제로 청약에서 떨어진 경험은 나중에 특별공급 자격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5. 결론은?

추첨제만 노린다고 해서 100% 당첨된다는 보장은 없어요.
하지만 전략적으로 접근하고, 꾸준히 시도한다면
실제 당첨으로 이어질 수 있는 ‘현실적인 기회’가 된다는 건 확실합니다!

무주택 기간이 짧고, 부양가족도 없는 청년층에게는 이게 사실상 유일한 길일 수도 있죠.
그리고 사실 대부분의 청약 초보자들은 가점을 쌓는 데 너무 오랜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 기다림 대신 지금 당장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살리는 것도 충분히 좋은 선택이에요.

실패에 익숙해지는 것, 그리고 기회가 올 때까지 버티는 것.
이 두 가지가 추첨제 전략의 진짜 핵심입니다.


✏️ 다음 글 예고
👉 "청약통장은 언제부터 들어야 유리할까?"
→ 청약 점수와 통장 가입기간의 관계, 무주택 기간과의 차이까지!
내일은 청약통장 활용법을 깊이 있게 알아볼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