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사람들의 선택과 그 이유
“요즘 전세 구하기가 진짜 어려워요.”
“그냥 월세라도 부담 안 되면 괜찮죠.”
요즘 부동산 이야기에서 가장 많이 들리는 말 아닐까요?
실제로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이후 월세 거래 비중이 전세보다 높아진 지역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요.
서울에서는 월세가 전체 임대 거래의 60% 이상을 차지한 달도 있었죠.
그렇다면 정말 요즘 사람들은 어떤 주거 방식을 선택하고 있을까요?
그리고 왜 그렇게 바뀌고 있는 걸까요?
오늘은 그 이유를 하나씩 쉽게 풀어보려 해요.
1. 전세, 왜 이렇게 줄어드는 걸까?
한때 전세는 ‘경제적으로 가장 똑똑한 선택’으로 여겨졌어요.
월세도 없고, 계약 끝나면 보증금도 그대로 돌아오고.
특히 목돈이 있는 사람들에겐 최고의 선택이었죠.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어요.
- 전세 보증금이 너무 커졌어요
서울은 말할 것도 없고, 수도권 외곽도 2~3억 전세가 기본이에요.
예전엔 1억 전세가 흔했는데, 지금은 1억으론 오피스텔 원룸도 힘든 경우가 많죠. - 전세사기와 깡통전세 공포
“보증금 못 받으면 어떡하지?”
이런 걱정이 현실이 되어버렸어요.
무자본 갭투자, 다가구 주택 전세사기 등으로 수천 명이 피해를 입었고, 그 여파가 아직도 이어지고 있죠. - 집주인들도 월세 선호
금리가 높다 보니 집주인 입장에서는 월세로 매달 수익 받는 게 훨씬 낫다고 판단해요.
그래서 전세 매물 자체가 줄어들고 있어요.
2. 월세는 왜 늘어나고 있을까?
한마디로 말하면, 현실적인 대안이기 때문이에요.
특히 2030대, 사회초년생, 12인 가구는 대부분 월세로 시작하죠.
- 초기 비용이 적어요
보증금 1,000만 원에 월세 50만 원짜리 방은 많이 있죠.
전세처럼 2~3억이 필요하지 않으니까, 부담이 확 줄어요.
특히 이직이 잦거나, 결혼 전 독립하는 경우엔 딱이에요. - 생활이 유연해요
단기 계약도 많고, 이사도 비교적 자유로워요.
정착보다는 경험, 탐색이 중요한 요즘 세대에게 잘 맞는 구조예요. - 집을 ‘소유’보다 ‘사용’으로 여기는 분위기
요즘 사람들은 “집이 꼭 내 소유일 필요는 없다”는 생각도 많이 해요.
특히 자산으로서의 집보단, 내가 생활하기 편한 공간이면 된다는 쪽으로 흐르고 있죠.
🗣️ 실제로 30대 직장인 A씨는 이렇게 말했어요:
“언젠가 내 집은 갖고 싶지만, 지금은 그냥 편하게 살 수 있는 게 더 중요해요.
월세 살면서 남는 돈으로 여행도 가고, 저축도 하고 있어요.”
그리고 정부도 이 흐름에 맞춰,
청년 월세 지원 사업, LH 전세임대 제도 등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고 있어요.
적극 활용하면 주거 부담을 줄일 수 있죠.
3. 매매는 여전히 꿈… 그러나 먼 이야기?
그렇다고 해서 매매를 완전히 포기한 걸까요?
그건 아니에요.
‘언젠가는 내 집을 갖고 싶다’는 생각은 여전히 유효해요.
단지 지금은 금리가 높고, 집값도 여전히 비싸기 때문에
‘지금 당장은 어렵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많을 뿐이에요.
예를 들어,
“지금은 전세로 살지만, 몇 년 뒤엔 내 집 마련하고 싶어요.”
“청약 당첨 기다리고 있어요.”
이런 말, 주위에서 자주 들리죠?
그래서 많은 분들이 전세나 월세로 살면서도, 동시에 내 집 마련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어요.
청약 점수를 쌓는다든지, 종잣돈을 모으는 식으로요.
4. 결국, 중요한 건 ‘내 상황에 맞는 선택’
주거 방식에 정답은 없어요.
지금 내 경제 상황, 인생 계획, 가족 구성, 직장 위치… 모든 걸 종합해서 가장 ‘합리적인 선택’을 하면 되는 거예요.
✔️ 전세는
: 보증금이 가능하고 장기 거주를 원할 때 적합해요.
→ 요즘은 전세보증보험도 꼭 챙겨야 해요.
✔️ 월세는
: 유연하고 가볍게 살고 싶을 때 좋아요.
→ 반전세처럼 월세를 줄이는 방식도 고려해볼 수 있어요.
✔️ 매매는
: 자금 여유와 장기 거주 계획이 있다면 도전해볼 수 있어요.
→ 다만 대출 부담과 시세 흐름은 꼭 체크해야 해요.
5. 더 깊이 알아보기: 최신 흐름과 사례들
🧾 참고로, 2023년 기준 서울시 전체 임대차 거래 중 월세 비중은 62.5%까지 올라간 적도 있어요.
2020년에는 40%대였던 걸 생각하면, 불과 2~3년 사이에 정말 큰 변화죠.
📊 이처럼 시장이 빠르게 바뀌는 데는 대출 규제 강화도 한몫했어요.
LTV, DSR 같은 규제가 강화되면서 매매 자금 확보가 어려워졌고, 결국 전세나 월세로 선택이 쏠리는 흐름이 생긴 거예요.
또 다른 2030 사례로는, 신혼부부인 B씨 부부가 있어요.
이들은 “청약은 너무 먼 이야기고, 월세가 아깝긴 해도 유연하게 살 수 있는 게 장점”이라며
보증금 3천만 원 + 월세 45만 원 반전세를 선택했다고 해요.
월세를 줄이되, 이사나 직장 이동에 대한 부담도 덜고 싶어서 그런 선택을 했다고요.
정부도 청년층과 무주택자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확대하고 있어요.
예를 들어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 사업’은 월 최대 20만 원을 1년간 지원해주는 제도인데,
기준을 충족하면 온라인으로 간단히 신청 가능하고, 실제 많은 20~30대들이 체감 혜택을 받고 있답니다.
🔍 다음 글 예고
“전세도 어렵고, 매매는 꿈같고… 월세만 계속 내는 게 맞을까?”
그럼 내 집 마련, 도대체 언제쯤 가능할까요?
👉 다음 글에서는 내 집 마련을 위한 현실적인 준비 방법과 시점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
희망은 있습니다. 함께 준비해봐요 😊
'내 집 마련의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가점은 낮고, 특별공급은 복잡해요… 신혼부부 특별공급은 누가 받을 수 있나요? (4) | 2025.07.03 |
---|---|
🧮 청약은 점수 싸움이라던데… 무주택기간이 왜 이렇게 중요할까요? (2) | 2025.07.03 |
🏡 청년·무주택자를 위한 정부 지원 제도, 뭐가 있을까? (2) | 2025.07.03 |
🧭 월세만 계속 내는 게 맞을까? (0) | 2025.07.02 |
🏠 부동산 용어, 왜 이렇게 어려운가요? (4) | 2025.07.02 |
🏦 청약통장, 아직도 안 만들었나요? (2) | 2025.07.01 |
🏡 청약이 뭐길래 이렇게 중요한가요? (2) | 2025.07.01 |
🏠 내 집 마련, 나도 가능할까? (4) | 2025.07.01 |